(스마트폰R) 진주 남강 재첩잡이 증가..주의사항은
(남) 최근 남강에 재첩 잡으러 가시는 분들이 크게 늘었다는 소식, 뉴스인타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여) 날씨가 추워진 지금도 재첩잡이에 많은 시민들이 몰리고 있는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마트폰 리포트, 조서희 기잡니다.
【 기자 】
진주 남강 천수교 주변입니다.
남강에서 재첩이 나온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재첩잡이에 나선
시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순자 / 진주시 봉곡동
- "한 일주일 정도 됐어요. (어떻게 알고 오셨어요) 강에 다니다 보니까 사람들이 캐더라고요. 그래서 들어와서 캐게 됐어요."
하지만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우선 남강 재첩을
먹어도 되는지
아직 불투명합니다.
중금속 검사 같은 성분 검사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진주시 관계자 / (음성변조)
- "식용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저도 정확한 판단이 힘들 것 같아요."
물살도 조심해야 합니다.
매일 오전, 남강댐에서
물을 방류하기 때문에
오전 11시가 넘어서면
수위가 높아지고
물살이 점점 빨라집니다.
물속에서 걷기 힘겨울 정도라
사람들도 짐을 챙겨
서둘러 물 밖으로 나옵니다.
이때 물 밖으로 안 나오면
고립될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홍순애 / 진주시 상봉동
- "지금 물이 들어온다. 물 들어온다. "
이끼나 수초가 미끄러워
중심을 잃고
물에 빠질 위험도 큽니다.
(CG IN)
재첩잡이의 경우
별도로 사고를 집계하지는 않지만
최근 3년 간
이와 유사한 다슬기 채취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전국적으로 52명,
경남에서는 5명으로,
거의 매년 사망 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CG OUT)
소방당국은 재첩을 잡을 때
안전 수칙을 지켜달라고 당부하고 있습니다.
전화> 서봉주 / 진주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장
"재첩을 채취할 때는 꼭 2명 이상 같이 행동해야 하고요. 구명조끼를 필히 착용하며 야간이나 음주 후에는 절대로 강에 들어가면 안 되겠습니다. 그리고 물속은 항상 불규칙한 돌발구간이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진주 남강에서
이색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재첩잡이.
무엇보다 안전을 우선으로 한
시민의식이 중요해 보입니다.
SCS 조서희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제8대 경남과기대 총장임용 후보자 공약은
- (남) 올해 경상대학교와 통합을 앞둔 경남과학기술대학교의 제8대 총장 선거가 오는 27일 치러집니다. 이번 선거 당선자는 3월부터 통합대인 경상국립대의 부총장으로 활동하게 되는데요. (여) 경남과기대에선 마지막으로 치러지는 총장 선거에 3명의 후보자가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주요 공약을 살펴봅니다. 김나임 기자입니다. 【 기...
- 2021.01.14
- (R) KAI에서도 확진자 발생..사천 지역감염 계속
- (남) KAI에서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KAI는 즉시 확진자들이 근무하는 공장을 폐쇄하고 방역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여) 사천에서는 지역감염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조서희 기잡니다. 【 기자 】29일 확진된 진주 178번과 179번은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직원입니다. 둘은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진주 173번의 접촉자...
- 2020.12.29
- (R) 진주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선제검사 탓
- (남) 경남에서 한달 동안 발생한 확진자 중, 서부경남 확진자 수가 1/3을 차지합니다. 그 중에서도 진주 확진자 수가 눈에 띄게 많은데요. (여) 특히 진주는 확진자 발생률이 경남에서 가장 높은데, 진주시는 그 이유로 많은 검사자 수를 꼽았습니다. 김나임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CG) 지난 한달 동안...
- 2021.01.07
- (R) 김경수 지사 "도청 진주 이전 없다..서부청사 효율 높일 것"
- (남) 김경수 도지사가 온라인으로 신년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여기서 김 지사는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과 서부경남 발전 전략 연계 등 올해 도정 운영 방향을 제시했는데요.(여) 특히 김 지사는 창원 특례시 지정에 따른 도청 진주 이전과 서부청사 운영에 대한 입장도 밝혀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차지훈 기자입니다.【 기자 】인구 1...
- 2021.01.06
- (R) 산청 적벽산 피암터널 개통..관광자원으로도 활용
- (남) 낙석이 빈번하게 발생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컸던 산청 적벽산 절벽 구간에 터널이 개통됐습니다. 낙석을 예방할 수 있는, 이른바 피암터널입니다. (여) 우암 송시열 선생이 적벽이라는 글자를 직접 바위에 새긴 각자도 복원돼 터널 부근에 전시됩니다. 양진오 기자입니다.【 기자 】착공 2년 6개월 만에임시개통 된 피암터널.터널...
-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