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농가소득 전국 2위 경남..해결 과제는 산적

2025-06-11

남경민 기자(south)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최하위에서 껑충 뛰어 오른 경남의 농가소득. 반짝 성과가 아닌 지속가능한 농업 구조 개선을 위해선 현장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제를 우선 풀어나가는 것이 주요해 보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
농가 인구 비중이
전국 11%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경남.

마늘과 고추, 딸기와 단감 등
다양한 작물의 주산지로
국내 농업에서 그 영향력은
적지 않습니다.

여기에
전략재배작물 집중 육성과
스마트팜 보급 등
경남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간접 지원이 더해지고 있는데,
그간 촤하위에 머물던
농가소득에서부터
가시적인 변화가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통계청 농가경제조사에 따르면
경남 농가소득은
지난해보다 515만 원 오른
5,54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국 9개 도 가운데 2위로
전년도 꼴지인 9위에서
7단계 상승한 겁니다.

[인터뷰]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
겸업농가가 비중이 높아서... 전국 평균보다 상당히 높습니다. 그리고 기본형 공익직불제 확대 지급이라든지 여성농업인 바우처 지원 같은 사업의 자부담을 폐지함으로써 농가소득이 향상됐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 희소식이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농가 전반의 안정과 발전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먼저 보다 실효성 있는
수급안정 대책 마련이
필요하단 목소리는
오래 전부터 제기돼 왔습니다.

재배 면적 감축에 들어간
벼를 포함해
과잉 생산된 물량을
획기적으로 해소할 방안이
절실하단 겁니다.

[인터뷰]
정연수, 함양 양파농가
(과잉 물량 시 농가가) 폐기처분해서 아예 없애버려야 되는데 그럴 상황이 아니다... 정부에서 농가에 일정 부분 지원을 해준다든지 이랬을 때 가능한 얘기지요.

이상기후에 따른
농작물 피해가
해매다 반복되고 있는 만큼
피해 보상 기준과 규모 등을
현실적으로 다듬는 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농가들은
재해보험 대상 작물 확대와
농업재해 세분화,
정부와 지자체 역할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여광준, 하동 배농가
보험을 넣어도 보험에 적용이 잘 안되고 그렇다 보니까 보험을 넣어서 혜택을 못 보니까 보험을 안 넣는...

이밖에도
일손 부족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규모와
체류 기간을 더 늘리고
근로조건과 처우 개선이
뒷받침 돼야 한단 목소리가
뒤따르고 있습니다.
SCS 남경민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