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지역축제 난립..내실 꾀해야"
(남) 지역경제 보탬뿐 아니라 주민들을 위한 문화 혜택 제공 측면에서도 축제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죠. 최근엔 지역축제들이 워낙 경쟁적으로 난립되다보니 이에 대한 개선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데요.
(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체질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CG 1 in]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주요 시·도 축제
개최 현황을 담은 자룝니다.
경남의 경우 기존 66개에서
135개로 두배 넘게 늘어났습니다.
무려 105%가 증가한건데
광주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CG 1 in]
이 같이 우후죽순처럼
지역 축제들이 난립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선거를 염두한
지자체들의 선심행정의 단면에서
그 이유를 찾고 있습니다.
지역 축제의 예산은 보통
1년 단위로 편재돼 진행되는데
성과 도출이 우선시 되다 보니
지역 정체성을 고스란히 담은
축제 발굴 노력보단
전시성과 낭비성이 짙은 축제
기획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
▶인터뷰 : 이완복 / 오산대학교 공연축제콘텐츠과 교수
관 주도형으로 이뤄지다 보니까 지자체장들이 자꾸 바뀌지 않습니까. 선심성 축제 혹은 지자체들의 성과 홍보 차원에서 축제를 자꾸 양산해가고 있는 거죠. 질적 하락이 될 수 있는 것이고...
//
주민들의 화합과 문화 전승,
지속적인 경제적 파급효과 도모라는
지역축제의 본질적 목적이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CG2 in]
실제 경남 지역축제들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지역주민 참가율과
외부관광객 증가율,
1인당 관광소비액 증가율이
감소하는 등
평가지표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G2 out]
지자체들 마다 축제 콘텐츠가
겹치는 것도 문젭니다.
이번달 곶감 축제가 열렸거나
열릴 지자체는 무려 5곳.
함양과 산청, 영동, 함안, 상주까지
모두 다 영남지역입니다.
지자체들이 해마다
경쟁적으로 축제 일자 선점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축제의 성격과 목적을
분명히 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살린
콘텐츠발굴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기관차원에서
나오는 상황.
0;03;25 + 0;04;07
▶현장씽크 : 박주언 / 경남도의원 (문화복지위원장)
지역축제의 무분별한 증가 보다 시너지를 일으킬 축제들을 통합하고, 지역의 대표적인 축제로 만들어 나갈 것을...도차원에서 축제 간 연합체 구성, 공동 마케팅, 인적 교류 등을 지원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도록 해야 합니다.
//
축제 등 행사성 사업 통제를
위한 관련규정이 있지만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지자체들의 자율적인
운영 고도화 노력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지역 축제.
축제가 지역에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때입니다.
SCS 김동엽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 R) "내년부터 경남패스로 교통비 부담 던다"
- 경남패스라고 들어보셨나요 경남도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인데요. 도에서 도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덜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내년 1월부터 ‘경남패스’라는 정책을 야심차게 시행한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올해 5월부터 시행한 K-패스 사업에 경남도민을 대상으로 혜택을 더했다고 하는데요. 경남도 교통정책과 남쌍현 파트장으로부터 직접 사업에 대한 설명을 ...
- 2024.12.25
- (R) "지역축제 난립..내실 꾀해야"
- (남) 지역경제 보탬뿐 아니라 주민들을 위한 문화 혜택 제공 측면에서도 축제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죠. 최근엔 지역축제들이 워낙 경쟁적으로 난립되다보니 이에 대한 개선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데요. (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체질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CG 1 i...
- 2025.01.09
- (R) 삼천포 키다리 아저씨, 올해도 통큰 기부
- '삼천포 키다리 아저씨'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어려운 이웃을 위해 언제나 도움의 손을 내미는 유진수산 강유복 대표에게 붙여진 별명인데요. 누구보다 가난했던 유년 시절, 어른이 되면 어려운 사람을 돕겠다는 결심에서 시작한 기부활동을 40년 넘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해도 통큰기부로 지역사회를 훈훈하게 한 강 대표를 강진성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사천에서...
- 2025.01.09
- (R) 진주·남해·하동, 정보공개 상위 20%
- 알 권리 보장을 위해 공공기관에서 생성한 정보를 청구할 수 있는 정보공개제도. 우리 지역에선 어떤 기관들이 투명하게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고 있을까요. 남경민 기잡니다.【 기자 】공공기관이 만들어갖고 있는 정보를국민들에게 공개하는 정보공개제도.정보공개포털을 통해누구나 기관에 정보를청구할 수 있습니다. 해마다 정보공개제도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 2025.01.09
- (R) 2025년 경남 교육, 어떻게 변하나
- 올해부터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됩니다. 늘봄학교도 대상이 확대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을 한해인데요. 2025년 경남 교육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정리했습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올해 경남교육의주요 정책 키워드로역량과 시민,공공성과 지역을꼽았습니다.특히 민주시민교육과 함께지역을 살리는 교육에집중한다는 방침.우선 지난해인구소멸...
-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