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고향사랑기부제 2년차..'접근성·혜택 확대' 과제

2024-06-05

김연준 기자(kimfed@scs.co.kr)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된지 1년 반이 지났습니다. 경남의 지자체는 모금액이 예상 목표액을 뛰어넘는 성과를 냈는데요. 하지만 지자체 별로 편차를 보이는 등 기부 문화가 정착됐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해 62억여원을 모금하며
예상 목표액인 41억원을
뛰어넘은 경남도와 18개 시군.

지자체들은 올해도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진주시는 마스코트
하모를 상품화한
인형·마카롱 선물세트 등을
신규 답례품으로 추가하며
차별화에 나섰습니다.

사천은 고향사랑기부제
고액 기부자를 초청해 감사패를
수여하고 대표 관광지를 둘러보는 등
소통하는 시간을 가지며,
기부를 독려했습니다.

정부도 시행 첫 해
가장 많이 지적받았던
사용처도 모르고 기부하는
깜깜이 기부 문제 해결을 위해
지정기부제를 본격 도입 하는 등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CG]
8개 지자체 11개 사업이
지정됐는데, 경남에서는
하동군 사업 두 개가
선정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기부 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갈 길이 멉니다.

서부경남의 경우
올해 1분기에도 전년 동기보다
전체 모금액이 증가하며
상승세로 보였습니다.

하지만 개별적으로 보면
산청은 모금액이
7천 6백 만원 넘게 늘고,
남해는 4천 만원 가량 주는 등
지역별 편차가 있기 때문입니다.
//

전문가들은 현재 고향사랑e음과
농협 창구로 한정된 기부 방식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고향사랑 e음의 경우
오류가 잦고, 기부 절차가
복잡해 민간 플랫폼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최승제 / 지역재생연구소 소장
- 일본 같은 경우 40개 정도의 플랫폼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자체별로 자기 특성에 맞게 하는 거고요.

[CG]
세액공제가 가능한
10만 원 이하 기부가
대부분인 만큼
공제액 한도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실제 민간플랫폼 위기브의
여론조사 결과 시민들이 원하는
고향사랑기부제 개선 사항으로
세제 혜택 한도 상향이
가장 많이 뽑혔습니다.//

▶ 인터뷰 : 정석만 / 동서포럼 대표
- 기부금 특례 공제로 공제 한도를 대폭 확대하는 문제라든지 세제 개정을 통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이용을 편하게 하는 것 이런 부분으로 발전해야 하는데...


기부금의 사용 신뢰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기부문화나 기부지수가
후퇴할 수 도 있는 만큼

이 부분에 대한 지자체들의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