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함양 곶감·산양삼을 디저트로..'함떡' 출시 눈길
최근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식품들이 큰 인기를 모은 바 있죠. 진주 땡초를 재료로 한 햄버거와 남해 유자맛 막대과자 등을 꼽을 수 있는데요. 함양에서도 곶감과 산양삼 등을 첨가한 찹쌀떡이 개발돼 지역 홍보와 특산물 소비 촉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하준 기잡니다.
【 기자 】
찰기 넘치는
찹쌀 반죽에서
일부를 떼어냅니다.
함양 곶감이 들어간
팥소를 넣고 동그랗게 빚자
먹음직스런 떡이 완성됩니다.
함양 특산물을 재료로 만든
디저트 '함떡'입니다.
함양 지역 대표 먹거리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품목으로,
사업 대상자 선정과
기술 전수 등을 마무리하고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S/U] 하 준 / hajun6203@scs.co.kr
"함떡은 함양대표 특산물인 산양삼을 비롯해 곶감, 사과 등 총 7종류로 개발이 됐습니다."
판매점인 디저트 카페엔
함떡뿐만 아니라
각종 음료들도
함께 판매될 예정인데,
대다수가 함양 농특산물을 재료로 해
농가 소득과 상권 활성화,
지역 홍보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 유한무 / 'ㅎ' 카페 대표
"젊으신 분들은 크림치즈 많이 사 가시고요. 또 어르신들은 곶감 찰떡이나 산양삼 찰떡, 여기에 관심을 많이 두시더라고요. 함양지역에서 나는 농산물들, 가공품들이 품질 좋은 게 굉장히 많거든요. 이런 것들이 좀 유명해져가지고 소비가 좀 더 활성화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행정에선
함떡에 대한 시장 반응을 살핀 뒤
지역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제조법 보급 여부를 검토할 전망.
또, 함양의 맛과 멋을 알릴 수 있는
메뉴를 추가 발굴, 개발해
먹거리로 지역 방문을
이끌어내겠다는 구상입니다.
▶인터뷰: 반민희 / 함양군 농산물유통과 주무관
"함떡은 단순히 떡 전문점이 아닌 로컬 디저트 카페 전문점으로 지역의 상품과 분위기를 판매하는 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합니다."
지역 홍보와 특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시도되고 있는 요즘.
먹고 마시는 식문화가
하나의 전략으로
자리잡는 모습입니다.
SCS 하준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파프리카 토마토퇴록바이러스 감염 급증.."사전 방제 중요"
- 경남 파프리카 농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해충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저한 사전 방제가 이번 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전국 파프리카 생산량의30% 이상을 차지하는 경남.파프리카는경남 신선농산물 수출액의 약 1/3을 책임지는 지역 효자 작물 중 하납니다. 그런데 최근일부 농가...
- 2025.05.20
- (R) 경남 곤충 농가 3곳 중 1곳 폐업..활로 찾기 나서
- 한때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았던 곤충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신고된 곤충농가 3곳 중 1곳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인데요. 현장에서는 다시 곤충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기자 】참나무나 상수리 나무에서식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일명 굼벵이들 입니다.외형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단백질 함량은 돼지고...
- 2025.05.23
- (R) 도립대-창원대 통합 승인 "전국 최초 다층학사제 운영"
- 교육부가 경남도립남해대학과 거창대학, 국립창원대학교의 통합을 승인했습니다. 내년부터 통합 대학으로 새롭게 출발하게 됩니다. 전국 처음으로 전문학사와 일반학사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됩니다. 김상엽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교육부가 남해대학 등 도립대학 2곳과국립창원대학교의통합을 승인했습니다.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대학 간의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입학...
- 2025.05.29
- (스튜디오R) 직접 들어봅시다 -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진주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최근에는 미션과 비전을 선포하며 지역의 안전과 편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다짐도 밝혔는데요. 이 시간 진주시민들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스튜디오에 초청했습니다. 이사장님...
- 2025.05.23
- (R) 일본 쌀값 급등에 "하동 쌀, 일본 접수하러 갑니다"
- (남) 최근 일본에서는 흉작과 사재기, 정부의 대응 미흡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평소 높은 관세 부담으로 한국 쌀의 수출은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수출 경쟁력이 생기게 됐는데요. (여) 이에 경남에서 최초로 고품질의 하동섬진강쌀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
-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