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페트병 1개에 10원"..산청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자판기 도입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이 시행된 지 어느덧 3년이 넘었는데요. 수거된 페트병의 대부분이 바로 재활용하기 힘든 상태로 배출돼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최근 산청군은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자판기를 설치했습니다. 정성희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폐기물처리장에서
작업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페트병을
색상별로 분류하고
라벨이 있는 경우
제거 작업을 거칩니다.
재활용품으로 수거된
페트병은 많지만
바로 재활용이 가능한
비율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최익수 / 산청군농촌폐기물종합처리장 재활용선별반장
"전체 수거하는 양에서 한 20% 정도는 바로 재활용할 수 있는 그런 완제품으로 들어오고, 나머지는 거의 다 우리 손을 거쳐서 라벨을 다 제거하고 선별해서 압축합니다."
이런 가운데
산청군이
투명 페트병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투명 페트병 수거 자판기를
설치했습니다.
자판기는
라벨이 부착된 페트병 등을 분류해
재활용할 수 없는
투명 페트병은
수거하지 않습니다
모바일 앱을 설치한 뒤
페트병을 배출하면,
한 개에 10원에 해당하는
10포인트가 적립됩니다.
2,000포인트 이상 쌓이면
돈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허태주 / 산청시장번영회장
"이 자판기를 설치하고 우리 상인들도 관심도가 높습니다. 왜냐하면 부가적으로 수입도 생기니까 여기에 관심들이 많습니다. 이게 또 환경보호도 되는 거고..."
산청시장 주차장 외에도
신안면과 시천면에
투명 페트병 자판기가
설치됐습니다.
▶인터뷰: 형경호 / 산청군 환경위생과 자원순환담당
"올바르게 배출하지 않으면, 탄소 배출량도 많아서 환경에 좋지 않은 투명 페트병 제품이 많습니다. 투명 페트병 배출을 올바르게 홍보하고, 쉽고 간편하게 배출해 회수율을 높이고자 투명 페트병 자판기를 설치하게 됐습니다."
분류 과정을 간소화한
투명 페트병 자판기가
재활용률을 얼마나 높일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SCS 정성희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