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보호소 "더는 못받아요"..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는 유명무실

2025-03-12

강철웅 기자(bears@scs.co.kr)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정부가 유기동물을 줄이고 무분별한 유기를 막기 위해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를 시행한지 3년쨉 접어 들어섭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호시설들이 이미 포화상태인 상황에서 제도가 실효성을 가질 수 있냐는 의문이 나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 기자 】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전국에서 버려지거나 유기된
동물은 11만 마리에 이릅니다.

경남에서도 매년 1만 1천여 마리의
유기동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하루에 3백여 마리 꼴로
동물들이 유기되고 있는 겁니다.

[SU]
이곳은 진주에 한 유기견 보호센터입니다.
이곳에는 버려지거나
키우기를 포기한 유기동물이 가득합니다.//

150마리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지만
250마리 이상이 들어오면서
수용할 수 있는 마릿수를
초과한 지 오래입니다.

[인터뷰] 20:22:41;17
황창수/진주시 농축산과 동물복지 팀장
- 저희가 매년 유기동물이 증가함에 따라 저희가 보호할 수 있는 두수보다 50% 이상 많이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저희가 시설 개선이라든지 입양홍보를(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무분별한 동물 유기를 막고
유기동물 입양률을 높이기 위해
지자체의 동물보호센터가
유기동물을 직접 인수하는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를 3년 전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호시설이 포화상태다 보니
제도의 실제 활용은 낮습니다.

[CG]
실제 지난해
사육포기 동물인수제로
자치단체가 인수한 동물은
1,300여 마리에 불과합니다.
경남도에서는
10마리를 넘지 않습니다. //

유기동물 입양률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2022년 32%를 기록 후
23%에 머물러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보호시설이 과부화된 상황에서
제도의 효과가
미비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인터뷰]
정서연 / 동물보호단체 리본 대표
-관련된 시설이나 시스템을 갖추고 난 다음에
이 제도를 시행해야 되는데 지금 현재 각 시·도마다 보호소는 이미 포화 상태입니다. 어폐가 단단히 있는 사항이고요. 유기동물들을 더 보호할 수 있는 시설과 시스템을 갖추고 난 다음에 시행을 하는 게 맞지 않나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

유명무실해진 동물인수제
실효성을 갖추기 위해선
시설확충과 함께
입양률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원책들부터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scs강철웅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