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R) 생생영농소식 - 양파 효능과 노균병 대처 방안
(남) 서부경남 주요 특산품 가운데 양파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기본적인 영양소 함유는 물론이고 혈전이나 뇌졸중 위험 감소, 당뇨병 예방 등 효능도 있는데요.
(여) 이제 수확이 코 앞으로 다가왔는데, 최근 고온현상에 따른 노균병 예방이 필요합니다. 경남도농업기술원 하두수 홍보팀장입니다.
【 기자 】
양파는 우리 음식의
대표적인 양념채소입니다.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C,
칼슘, 인, 철 등
다량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매운 맛이 주를 이루지만
열을 가하면
설탕의 50배의 단맛을 갖는
특징이 있습니다.
음식에서 주로
부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양파는
우리의 식탁에
빠지지 않고 올라오는
중요한 식품 중 하나입니다.
양파의 알리신 성분은
신경안정제 역할과
혈관 속의 일산화질소를 배출하고
혈전이나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키며,
섬유소는 장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황화합물은
체내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양파와 마늘의
항균·항암·해독작용 등
다양한 약리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최근에 도내 양파 주산지역에서
25℃를 넘는 고온현상이
2-4일 정도 발생하면서,
일부 양파 재배포장에서
노균병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노균병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고온성 병원균 감염이 촉진되어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으며,
병원균 포자가 포장에 축적되어
내년 양파 재배 시
병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고품질 양파 생산을 위해서는
노균병 예찰 및 방제를
철저히 해야겠습니다.
배나무 열매 솎는 시기는
꽃이 진 후 10일 정도에
실시하는 것이 알맞습니다.
배는 꽃눈 하나에
7∼8개의 열매가 달려,
그냥 두면 과실이 작아지고
해거리의 원인이 됩니다.
열매를 솎을 때는
3∼5번과 중에서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 열매는 따 주면 됩니다.
지금까지 경상남도농업기술원에서
생생영농소식이었습니다.
-
많이 본 뉴스
- (섹션) 조경가 강호철 교수와 함께하는 '세계의 정원 산책' #8_태국_농눅빌리지
- (상단)조경가 강호철 교수와 함께하는'세계의 정원 산책'#8_태국_농눅빌리지 ////(하단)태국 '농눅' 할머니의 개인 사유지에 꾸며진 예쁜 공원길 따라 꽃·나무 어우러져 아시아 최대 관광식물농원 조성 강호철, 경상국립대 조경학과 명예교수'농눅빌리지는 우리나라 단체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는 곳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이 시원한 실내에서 진행되는 무술 공연...
- 2022.06.03
- (R) 학교가 곧 전시관..지역 기관 문화공간 확산
- (남) 전시관이나 공연장이 생활권 가까이에 있으면 문화생활을 하기가 쉬워집니다. 이러한 문화 접근성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요. (여) 최근 지역에선 본래의 역할에 충실하면서 지역민들에게 문화 공간까지 제공하는 기관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하준 기잡니다.【 기자 】벽에 걸린 작품들을감상하는 학생들...
- 2022.06.16
- (R) 누리호, 다시 기립..지역 항공우주기업도 주목
- (남) 과기정통부가 문제가 됐던 누리호의 기술적인 개선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상 상황 등 다른 변수가 없다면 21일 오후 발사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 KAI를 비롯한 지역 항공우주기업들이 참여해 만든 순수 우리 기술의 우주 발사체가 지난 발사 때 문제들을 보강해 성공적으로 우주로 날아갈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집니...
- 2022.06.20
- (R) "하동에서도 스타트업" 지역 활력 꿈꾸는 청년들
- (남) 청년들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좀 더 큰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꿈을 찾아 오히려 하동으로 온 청년들이 있다고 하는데요.(여) 각자 다른 일을 하다 온 20대 청년들이 하동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에너지가 될 수 있을까요 남경민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기자 】회의가...
- 2022.06.06
- 진주시, 농번기 가뭄피해 대비 예방대책 추진
- 앞서 뉴스인타임에서 농번기 가뭄피해에 대해 보도한 가운데 진주시가 예방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진주시는 최근 장기가뭄으로영농기 농업용수 부족 현상이 심각했던 만큼하상굴착과 저수지 물 활용 등농업용수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특히 최근 단비가 내리긴 했지만향후 기상이변으로 인한가뭄피해가 잦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지하수를 활용하는 농업용 암반관정...
- 2022.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