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승강기산업복합관 개관..산업 중심 자리매김 할까
국내 설치된 승강기는 모두 80만 대가 넘습니다. 세계 7위에 해당되는 규몬데요. 세계 승강기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기반 시설인 승강기 산업복합관이 조성됐습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
투명한 유리창 안
오르내리는 엘리베이터.
케이블과
내부 철골 구조물들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한 켠에 놓인 에스컬레이터도
속이 훤히 들여다 보여
어떤 방식으로 부품들이
움직이는지 알 수 있습니다.
승강기 산업복합관 내 마련된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실습타워 모습입니다.
5월 30일 거창군
승강기전문농공단지 내
승강기산업복합관이
문을 열었는데,
지난 2019년부터 추진된
이번 건립 사업에는
모두 240억여 원이 투입됐습니다.
실습타워뿐만 아니라
십여 종의 실험설비와 기숙사,
각종 편의시설까지 마련돼 있어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용표,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이사장
"기숙사까지 갖추고 있고 신제품 연구개발과 품질시험을 위한 장비까지 갖추고 있어 우수한 산업 인력 양성과 신제품 개발 등 승강기산업 진흥과 승강기 안전 확보에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은
이번 산업복합관 건립과 별개로
230억여 원을 들여
높이 125m 규모
승강기 시험타워를 조성 중입니다.
올해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시험타워까지 완성된다면
경남에 승강기산업
클러스터 기반이
만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용균,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장
"이제는 양적 성장을 넘어서 질적 성장 그리고 전세계에 우리나라 승강기산업이 뻗어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되고 그러한 계기에 오늘 복합관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단은 이번에 조성한
승강기 허브도시를 통해
세계 승강기 산업을 선도할
기술과 인재를 확보하고,
관련 업체와 기관 등을 집적화해
시너지를 노린단 계획입니다.
[스탠드업]
거창에서 문을 연
승강기산업복합관.
승강기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SCS 남경민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파프리카 토마토퇴록바이러스 감염 급증.."사전 방제 중요"
- 경남 파프리카 농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해충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저한 사전 방제가 이번 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전국 파프리카 생산량의30% 이상을 차지하는 경남.파프리카는경남 신선농산물 수출액의 약 1/3을 책임지는 지역 효자 작물 중 하납니다. 그런데 최근일부 농가...
- 2025.05.20
- (R) 경남 곤충 농가 3곳 중 1곳 폐업..활로 찾기 나서
- 한때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았던 곤충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신고된 곤충농가 3곳 중 1곳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인데요. 현장에서는 다시 곤충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기자 】참나무나 상수리 나무에서식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일명 굼벵이들 입니다.외형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단백질 함량은 돼지고...
- 2025.05.23
- (R) 도립대-창원대 통합 승인 "전국 최초 다층학사제 운영"
- 교육부가 경남도립남해대학과 거창대학, 국립창원대학교의 통합을 승인했습니다. 내년부터 통합 대학으로 새롭게 출발하게 됩니다. 전국 처음으로 전문학사와 일반학사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됩니다. 김상엽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교육부가 남해대학 등 도립대학 2곳과국립창원대학교의통합을 승인했습니다.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대학 간의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입학...
- 2025.05.29
- (스튜디오R) 직접 들어봅시다 -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진주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최근에는 미션과 비전을 선포하며 지역의 안전과 편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다짐도 밝혔는데요. 이 시간 진주시민들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스튜디오에 초청했습니다. 이사장님...
- 2025.05.23
- (R) 일본 쌀값 급등에 "하동 쌀, 일본 접수하러 갑니다"
- (남) 최근 일본에서는 흉작과 사재기, 정부의 대응 미흡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평소 높은 관세 부담으로 한국 쌀의 수출은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수출 경쟁력이 생기게 됐는데요. (여) 이에 경남에서 최초로 고품질의 하동섬진강쌀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
-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