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키울수록 손해보는 한우.."정부 차원 대책 마련하라"
사료값은 늘었는데, 한우 수요가 감소하면서 한우 사육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농민들 사이에서는 키울수록 손해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경남도에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농가들은 더 나아가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 하다고 주장합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비닐장갑을 낀 농민들이
수소에서 뽑아낸
정액을 암소에게 주입합니다.
수소를 암소에 직접
교배시키지 않고,
사람이 필요시 수정시키는
인공수정입니다.
농민이 직접 진행할 경우,
번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공수정사에 의존하지
않아 무엇보다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 인터뷰 : 백상기 / 경남도 축산연구소 농업연구사
- 축산 농가의 1차원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교육으로써 자가 부담비가 줄어들고, 자기 소를 직접적으로 인공 수정 함으로써 소 관리를 더 요령 있게 할 수 있어...
수요 감소로 한우 값이
크게 떨어졌지만,
사료값 등 유지비는
늘면서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자
경남도가 부담을 덜기 위해
사료값 지원과 교육 등
대책마련에 나선겁니다.
[CG]
실제 3년 전과 비교했을때
산지 가격의 지표로 여겨지는
7개월령 수송아지의 가격과
거세우의 가격은 28% 정도
감소한 반면,
배합사료 가격은
3년새 40% 가량 급등하고
있습니다.
//
지난해 한우 한 마리당
순손실은 142만원으로
산지에서는 키울수록
손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 가운데, 전국 한우농가는 3일
서울 여의도에서 한우 반납
집회를 열고, 한우 농가 자금
지원을 주내용으로 하는
한우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많은 유통단계가 소매가를
끌어올렸다며, 산지 가격 소비자
가격 연동제 시행 등도
주장했습니다.
▶ 전화인터뷰 : 이두만 / 전국한우협회 산청군지부장
- 음식점까지 식당까지 오는 데는 한 4~5곳의 유통과정을 거칩니다. 배로 뛰는 거죠. 유통구조 개선이라든지...
어려운 상황 속
올해 경남의 한우 사육
농가는 지난해보다
800여 곳 넘게 감소한 상황.
농민들은 정부 차원의
근본적 대책 마련이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SCS 김연준 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