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사라지는 전어잡이 배..사천마도갈방아소리 한마당
삼천포대교 인근에 위치한 섬, 마도. 이곳 주민들은 주로 전어잡이를 생업으로 하는데요. 고된 일을 잊기 위해 부르던 ‘갈방아소리’는 경남 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본격적인 전어잡이를 앞두고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는 소리가 울려퍼졌습니다. 보도에 정성희 기자입니다.
[기자]
흰 옷을 입은
어부의
정겨운 방언이
울려 퍼집니다.
2회째 열린
전어 잡는 어부와
사천 마도 갈방아소리 한마당.
지난해와 달리
실제 전어잡이 배를
배경으로 무대가
만들어졌습니다.
경남도 무형유산인
사천 마도 갈방아소리는
마도에서
전어잡이를 위해
불리던 노동요입니다.
바다에 나가기 위해
어구를 손질하면서
부르던 소리부터
고기를 잡아 돌아올 때까지
부르던 소리를 총칭하는
사천 마도 갈방아소리.
보존회에서
소리를 이어가고 있는
회원들은
대부분 고령층입니다.
▶ 인터뷰 : 박영철, 사천 마도갈방아 소리 보존회 전수조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마도갈방아가 앞으로 활성화되게끔 오는 것을 대환영합니다. 그러니까 전수 교육을 한 달에 몇 번 하는데, 생업에 바쁘다면 못 오더라도 취미가 있는 분은 언제든지 오면...
////
회원들은
갈방아 소리 뿐만 아니라
전어잡이 배도
사라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 인터뷰 : 김상수, 사천 마도 갈방아소리 보존회장
점차 전어잡이 배도 없어져 갑니다. 우리 갈방아 공연을 통해 전어잡이에 관심을 가져주고...어민들, 공연자들도 없어져 가는데, 육지에 있는 분들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습니다.
///
오는 16일부터
금어기가 풀리면
본격적인
전어잡이가 시작됩니다.
마도 갈방아소리가
울려퍼지면서
어민들은
안전과 풍어를 기원했습니다.
SCS 정성희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