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생활인구 늘리겠다..정부,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
농막은 일시 휴식 등의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숙박은 불가능한 시설입니다. 하지만 귀농귀촌 인구가 늘며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농촌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는 의견도 있어 마냥 규제를 하기에도 부담이 컸습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가 숙박이 가능한 농촌 체류형 쉼터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양봉 시설과 함께
자리잡은 작은 컨테이너.
집처럼 생겼지만 숙박은
불가하고, 농기계 보관과
일시 휴식 등의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한 농막입니다.
하지만 주말농장이나
4도 3촌 등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서 본래 목적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S/U]
실제 감사원이 지난해 발표한
20개 지자체 농막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절반이 넘는 농막이
불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해결책으로
농막에서 숙박 등을 제한하는
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지만,
농촌 활성화를 막는다는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습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농막과
별개로 임시 숙소처럼 사용 가능한
농촌체류형 쉼터를 오는 12월 부터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CG]
농막과 같은 가설 건축물로
양도세와 취득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사용기간이 최대 12년이고
개인이 본인 소유 농지에
부속시설 제외 약 10평 규모로
설치할 수 있어 농막보다
1.7배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화재와 재난 위험에 대비해
위험 지역은 제외하고,
소방차와 응급차가 다닐 수
있는 도로와 접해있는 곳에만
설치 할 수 있게 한 점도
차이입니다.
지자체가 단지를 조성하는 등
농지법 개정을 통해
설치 방법도 다양화 합니다.
▶ 인터뷰 : 윤원습 /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관
- 지자체가 농촌체류형 쉼터 단지를 조성해 개인에게 임대하거나 지자체가 지정한 특정 구역 내에서 개인이 설치하도록 하여 집적화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농막도 입지와 시설
기준을 갖추면 3년 유예기간을
두고 쉼터로 전환할 수
있게 할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생활인구를 늘려
농촌 소멸을 완화하는 것이
정부의 목표.
[CG]
지난해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인구 감소 규모가
서울 다음으로 크지만,
생활인구의 경우 인구감소지역 중
하동군이 등록인구의 10배에
달할만큼 활성화된 경남에게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다만 농막과 마찬가지로
주소 이전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만큼
위장 전입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파프리카 토마토퇴록바이러스 감염 급증.."사전 방제 중요"
- 경남 파프리카 농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해충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저한 사전 방제가 이번 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전국 파프리카 생산량의30% 이상을 차지하는 경남.파프리카는경남 신선농산물 수출액의 약 1/3을 책임지는 지역 효자 작물 중 하납니다. 그런데 최근일부 농가...
- 2025.05.20
- (R) 경남 곤충 농가 3곳 중 1곳 폐업..활로 찾기 나서
- 한때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았던 곤충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신고된 곤충농가 3곳 중 1곳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인데요. 현장에서는 다시 곤충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기자 】참나무나 상수리 나무에서식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일명 굼벵이들 입니다.외형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단백질 함량은 돼지고...
- 2025.05.23
- (R) 도립대-창원대 통합 승인 "전국 최초 다층학사제 운영"
- 교육부가 경남도립남해대학과 거창대학, 국립창원대학교의 통합을 승인했습니다. 내년부터 통합 대학으로 새롭게 출발하게 됩니다. 전국 처음으로 전문학사와 일반학사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됩니다. 김상엽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교육부가 남해대학 등 도립대학 2곳과국립창원대학교의통합을 승인했습니다.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대학 간의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입학...
- 2025.05.29
- (스튜디오R) 직접 들어봅시다 -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진주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최근에는 미션과 비전을 선포하며 지역의 안전과 편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다짐도 밝혔는데요. 이 시간 진주시민들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스튜디오에 초청했습니다. 이사장님...
- 2025.05.23
- (R) 일본 쌀값 급등에 "하동 쌀, 일본 접수하러 갑니다"
- (남) 최근 일본에서는 흉작과 사재기, 정부의 대응 미흡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평소 높은 관세 부담으로 한국 쌀의 수출은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수출 경쟁력이 생기게 됐는데요. (여) 이에 경남에서 최초로 고품질의 하동섬진강쌀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
-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