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서부경남 지역 곳곳 여름 축제 일정은
그야말로 무더운 여름입니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여행지를 찾아보시는 분들 많으실 건데요. 바다나 계곡도 좋지만 서부경남 곳곳에서 열리는 지역축제를 가보는 건 어떨까요 8월 지역축제 일정을 정리했습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 기자 】
[CG1]
진주에서
8월 2일부터
25일까지
다채로운 야간 행사,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이 개최됩니다.
/
진주성의 의미와 이야기를
미디어아트로 구현한
행사인데요.
'온새미로 진주성도'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의
개막식은 8월 2일
저녁 8시, 촉석문 앞
특설무대에서 진행됩니다.
/
[CG2]
사천에서는
다양한 축제·행사가
8월을 가득 채웁니다.
지난달 27일 시작한
토요상설무대 프러포즈는
오는 17일까지 이어지는데요.
/
매주 토요일, 오후 7시부터
삼천포대교공원에서
진행되는 프러포즈,
3일 열리는 2회차 행사는
EDM Party로
강렬한 비트를
10일 열리는 3회차 행사는
폭발적인 가창력과
발라드를 즐길 수 있습니다.
마지막 회차인 17일에는
사천 락페스티벌에서
여러 밴드가 무대를 펼칩니다.
/
지역 특산물도
빠질 수 없는데요.
사천시 삼천포항
자연산 전어축제는
오는 9일부터 사흘간
삼천포항 일원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또 전어로 유명한
하동 술상에서는
올해 전어축제가
열리지 않습니다.
다만 술상 전어판매장을
통해 싱싱한 전어를
맛볼 수 있습니다.
/
이밖에도
오는 9일부터 사흘간,
사천에선 경남 청년
인플루언서 페스티벌이
또 함양에선
23일부터 이틀간
연암문화제가 진행됩니다.
/
산청에서는
여름 축제 대신
콘서트와 음악회가
잇따라 개최됩니다.
오는 3일에는
산청대포숲
가요사랑콘서트가,
9일에는 산청
힐링음악회가
열릴 예정입니다.
/
신나는 축제와
맛있는 특산물이 가득한
서부경남의 8월.
무더운 여름을
지역 축제가
가득 채웠습니다.
SCS 김상엽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파프리카 토마토퇴록바이러스 감염 급증.."사전 방제 중요"
- 경남 파프리카 농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해충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저한 사전 방제가 이번 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전국 파프리카 생산량의30% 이상을 차지하는 경남.파프리카는경남 신선농산물 수출액의 약 1/3을 책임지는 지역 효자 작물 중 하납니다. 그런데 최근일부 농가...
- 2025.05.20
- (R) 경남 곤충 농가 3곳 중 1곳 폐업..활로 찾기 나서
- 한때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았던 곤충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신고된 곤충농가 3곳 중 1곳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인데요. 현장에서는 다시 곤충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기자 】참나무나 상수리 나무에서식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일명 굼벵이들 입니다.외형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단백질 함량은 돼지고...
- 2025.05.23
- (R) 도립대-창원대 통합 승인 "전국 최초 다층학사제 운영"
- 교육부가 경남도립남해대학과 거창대학, 국립창원대학교의 통합을 승인했습니다. 내년부터 통합 대학으로 새롭게 출발하게 됩니다. 전국 처음으로 전문학사와 일반학사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됩니다. 김상엽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교육부가 남해대학 등 도립대학 2곳과국립창원대학교의통합을 승인했습니다.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대학 간의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입학...
- 2025.05.29
- (스튜디오R) 직접 들어봅시다 -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진주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최근에는 미션과 비전을 선포하며 지역의 안전과 편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다짐도 밝혔는데요. 이 시간 진주시민들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스튜디오에 초청했습니다. 이사장님...
- 2025.05.23
- (R) 일본 쌀값 급등에 "하동 쌀, 일본 접수하러 갑니다"
- (남) 최근 일본에서는 흉작과 사재기, 정부의 대응 미흡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평소 높은 관세 부담으로 한국 쌀의 수출은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수출 경쟁력이 생기게 됐는데요. (여) 이에 경남에서 최초로 고품질의 하동섬진강쌀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
-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