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동의보감촌으로 간 약초축제..더 커지고 다채로워진다
산청 한방약초축제가 동의보감촌으로 장소를 옮겨 오는 27일 개막합니다. 산청 엑스포의 연계 행사 격이었던 지난해보다 규모는 커지고 프로그램은 다채로워질 예정인데요.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The 신비로운 약방 페스타 1613이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제24회 산청한방약초축제.
허준이 동의보감을 발행한
1613년을 콘셉트로
행사장 전체를 하나의
약방으로 만든다는
계획을 담고있습니다.
주행사장도 동의보감촌으로
변경됐는데, 개막식에서는
허준의 동의보감 편찬 과정을
담은 주제공연이 펼쳐집니다.
▶ 싱크 : 이정은 / 축제 대행사 '비컴' 대표
- 산청을 배경으로 해서 허준이 활동해서 동의보감을 편찬해서 왕에게 바치는 그런 내용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관광객이 맞춤형 한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대표 프로그램
혜민서는 동의보감촌의 기가
한 곳에 모인다는 동의전에서
운영합니다.
올해도 조선시대 백성을 무료로
치료하던 혜민서의 정신을
재현해 무료로 진행합니다.
또 어린이 헬스클럽,
가족 힐링존 등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시설을 강화합니다.
이외에도 동의보감촌
전체를 23곳으로 나눠
50개가 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
지난해보다 행사 규모가 커진
만큼 행사장내 꼬마 열차를
운행해 관광객들의 이동을
도울 계획입니다.
다만 산 중턱에 위치한
동의보감촌의 특성상
기존보다 도보로 방문하는
군민들의 접근성은 나빠진 상황.
대행사 측은 셔틀버스
운행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싱크 : 이정은 / 축제 대행사 '비컴' 대표
- 그래서 저희가 산청읍에서 셔틀버스를 몇 대 정도는 배치 해야하지 않을까 그렇게 고민을 깊게 하고 있습니다.
진주 유등축제, 하동 야생차
문화축제와 함께 올해도
문체부 명예문화관광
축제로 선정된 산청한방약초축제.
[S/U]
지리산의 가을 정취와
산청 한방약초의 우수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이번 축제는 오는 27일
막을 올립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파프리카 토마토퇴록바이러스 감염 급증.."사전 방제 중요"
- 경남 파프리카 농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해충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저한 사전 방제가 이번 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전국 파프리카 생산량의30% 이상을 차지하는 경남.파프리카는경남 신선농산물 수출액의 약 1/3을 책임지는 지역 효자 작물 중 하납니다. 그런데 최근일부 농가...
- 2025.05.20
- (R) 경남 곤충 농가 3곳 중 1곳 폐업..활로 찾기 나서
- 한때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았던 곤충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신고된 곤충농가 3곳 중 1곳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인데요. 현장에서는 다시 곤충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기자 】참나무나 상수리 나무에서식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일명 굼벵이들 입니다.외형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단백질 함량은 돼지고...
- 2025.05.23
- (R) 도립대-창원대 통합 승인 "전국 최초 다층학사제 운영"
- 교육부가 경남도립남해대학과 거창대학, 국립창원대학교의 통합을 승인했습니다. 내년부터 통합 대학으로 새롭게 출발하게 됩니다. 전국 처음으로 전문학사와 일반학사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됩니다. 김상엽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교육부가 남해대학 등 도립대학 2곳과국립창원대학교의통합을 승인했습니다.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대학 간의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입학...
- 2025.05.29
- (스튜디오R) 직접 들어봅시다 -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진주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최근에는 미션과 비전을 선포하며 지역의 안전과 편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다짐도 밝혔는데요. 이 시간 진주시민들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스튜디오에 초청했습니다. 이사장님...
- 2025.05.23
- (R) 일본 쌀값 급등에 "하동 쌀, 일본 접수하러 갑니다"
- (남) 최근 일본에서는 흉작과 사재기, 정부의 대응 미흡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평소 높은 관세 부담으로 한국 쌀의 수출은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수출 경쟁력이 생기게 됐는데요. (여) 이에 경남에서 최초로 고품질의 하동섬진강쌀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
-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