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R-2) 작은 학교 살리기 '민관학 협력' 필수..지속성 과제
활용이 어려운 폐교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를 막기 위해 작은 학교를 살리자는 목소리가 나온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죠 서부경남에는 그 성공 사례인 함양 서하초가 있는데요. 작은 학교를 살리기 위한 필요조건은 무엇이고 어떤 과제가 남았는 지 알아봤습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 2019년 다니는 학생이
14명에 불과했던
함양군 서하초.
6학년 4명이 졸업할 예정인데,
신입생도 없어 폐교 위기에
처해있었습니다.
그런데 학교와 지역주민,
향우와 동문이 힘을 합쳐
학교 살리기에 나서자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빈집 알선과 일자리 연계,
특성화 교육 등을 내세워
전국 단위의 학교 입학 설명회를
열었는데 140여명이 몰렸고,
전교생이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 인터뷰 : 신귀자 / 서하초등학교 교장 (지난 2020년)
- 대도시에서 복잡하게 생활하는 학부모들이 농촌으로 가고 싶어 하는 마음을 이 갖고 있지만 어떻게, 어떤 곳으로 가야 할지 막연히 걱정만 하고 있다가 저희 학교처럼 이렇게 보도를 통해서 알게 되니까 찾아오시고...
민간 차원에서 시작한
활동은 각 기관의 지원으로
확대됐습니다.
서하초를 중심으로 아파트와
각종 시설이 들어섰고,
마을에 활기가 돌았습니다.
이같은 서하초의 민관학
협동 사례는 작은 학교 살리기의
성공 모델로 자리잡았고,
도교육청의 사업으로도 추진돼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S/U]
함양 유림초등학교는
작은 학교 살리기 사업
선정 1년만에 학생 수가
12명 증가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CG]
문제는 지속성입니다.
모범사례인 서하초는 학생 수가
지난 2022년 30명 선이
무너진 데 이어
20명대도 위태로운 상황입니다.
//
유림초도 현재는 추진
당시보다 학생 수가 5명
줄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전입 온
학부모들이 도시와 다른 교육
방식·문화에 적응하지 못해
지역을 떠나는 사례가
부지기수라고 지적합니다.
그러면서 이주민 중심으로
마을 공동체를 조성해
이를 극복하고 있는 남해 상주의
동고동락협동조합 등의
사례를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 인터뷰 : 최승제 / 지역재생연구소장
- 그 지역에 일종의 공동체가 형성되지 않고, 그분들이 또 학부모들이 떠나버릴 수 있는 조건들이 돼버리면 오래 못 가는 거죠. 그 지역의 주민들과 같이 정착해나가는 사례들도...
정주환경도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당장 동네에 아이가 아플때
갈 소아응급실이 없고,
이주 학부모에게 제공해준다던
공공임대주택은 조건이
까다로워 입주 자체가 어렵다는 겁니다.
진학할 수 있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선택지가 적어
거창으로 이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인터뷰 : 김우성 / 함양군 서하면
- LH에 사는 애들은 가까운 곳이 여기서 4km 떨어진 서상 중고등학교를 가게 되는데... 거창이라든지 다른 지역으로도 고등학교나 중학교를 옮기는...
한편 교직원들이 업무 부담을
우려해 작은 학교 살리기
자체를 시작조차 못하는
지역도 많습니다.
▶ 인터뷰 : 장원 / 전 서하초 학생모심위원장
- 그 지역에 아무런 연고도 없고, 굳이 업무만 많아지는데, 학교 살리기에 동참해야 되느냐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분들이 많아서...
지역 소멸 위기 속
사라져가는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작은 학교.
이를 살리기 위한
노력이 반짝 효과에
그치지 않도록
돌아봐야할 시점입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