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벼 재배면적 감축..농민들 "강제로 느껴"

2025-03-21

김연준 기자(kimfed@scs.co.kr)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정부의 벼 재배면적 감축 요구에 지역 농민들이 반발하고 있다는 소식 저희 뉴스를 통해 전해드렸습니다. 경남도가 타작물 재배 등으로 참여를 유도하겠다 밝혔지만, 농민들의 불만은 여전한데요. 특히 일률적으로 지원하던 경영안정자금 사업을 면적 감축 농가에 우선 지원하기로 하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경남도가 올해
감축 목표로 잡은
벼 재배면적은
7,007헥타르.

이는 지난해
재배면적의
11%에 달하는 규모로,
농민들이 한해 만에
줄이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CG]
서부경남으로 좁히면
진주 442ha,
사천 380ha 등입니다. //

진주에서 30년째
농사를 짓고 있는 이동권 씨.

벼 농사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시설 채소 재배도 겸하고 있습니다.

이 씨에게도 벼 재배 규모를
줄이라는 요구는
큰 부담입니다.

▶ 인터뷰 : 이동권 / 진주시 진성면
- (재배면적 감축 미이행 시) '공공비축미도 줄이겠다' '보조금도 줄이겠다' 이런 조건들을 막 달았거든요. 그걸 달았으니까 당연히 협박이고 강제로 줄여라 하는 소리하고 같죠.

경남도는 전략작물 재배확대,
타작물 전환 지원 등으로
농가 참여를 유도하겠다고
밝혔지만,
농민들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반응입니다.

▶ 인터뷰 : 전주환 / 진주시농민회 사무국장
- (타작물 전환 시) 또 도미노 현상으로 인해서 기존에 재배하고 있던 분들한테 생산 과잉으로 인한 가격 폭락...

특히 경남도가 모든
벼 재배 농가에 일률적으로
지원하던 경영안정자금을
올해부터 감축 농가에
우선 지원하기로 하며
농민들의 반발이 큽니다.

심지어 농가가
3천㎡ 이상 면적을 줄여야
지원을 받을 수 있어
85%에 달하는 도내 소농들은
참여가 쉽지 않습니다.

경남도는 중대규모
농가 중심으로 재배면적
감축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라며, 소형농기계공급 등
소농 영농환경 개선에도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싱크 : 이정곤 / 경남도 농정국장
- '벼 재배농가 경영안정자금 지원사업'을 개편하여 중·대규모 농가의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며 참여자에게는 실질적 소득 보전을 위해 우선 지원 할 계획입니다.

한편 경남도의회는
이번 대규모 감축이
농민들의 생존권을 침해하는
조치라며 감축 계획 즉각 철회를
촉구하는 대정부건의안을
발의했습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