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방송 채널8번 로고

(R) 경남-부산 행정통합, 다시 수면 위로

2024-06-17

하준 기자

글자크기
글자크게 글자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 복사하기
기사 인쇄하기 인쇄


최근 대구와 경북 그리고 대전을 포함한 충청권의 메가시티 구축이 각각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관련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적극 검토 중인데요. 이같은 분위기에 힘입어 경남과 부산의 행정통합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보도에 하준 기잡니다.

【 기자 】
인적, 물적 자원의
수도권 쏠림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지역소멸 위기.

정부의 관심에 힘입어
대구-경북권 그리고
대전-세종-충청권 등에선
지자체 간 광역 연대 논의가
활발한 분위깁니다.

이보다 앞서
경남과 부산, 울산도
특별연합 논의를 진행했지만
시도 간 이견으로
끝내 좌초됐고,

그 대체 방안으로
초광역권 산업 육성과
1시간 생활권 조성 등을
내용으로 한
부울경 경제동맹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완수 / 경남도지사
"시간을 가지고 충분한 논의와 통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서 시도민들의 의견을 다시 묻자고 해서 지금 현재 부산연구원, 경남연구원이 공동으로 구상안을..."

이런 가운데 17일,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박형준 부산시장이
경남-부산 행정통합을
재논의하기 위한
비공개 회동을 가졌습니다.

박 지사는
회동 직후 기자회견에서
'경남과 부산의 행정통합이
성공적이기 위해선
각 시도민의 공감대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정부가
통합된 자치단체에 대해
완전한 자치권을
인정·보장해주어야 하며

장기적으론 울산의
통합 논의 참여가
꼭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박완수 / 경남도지사
"광역자치단체가 통합이 되면 연방정부 하의 지방정부의 위상에 준하는 그런 자치권이 보장이 돼야 된다... 부산-경남이 1차적으로 통합에 대한 논의를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울산이 함께 참여해서..."

두 단체장은 이날,
행정통합의 세부 추진 과제를 담은
공동합의문도 채택했습니다.

오는 9월까지
경남-부산 행정통합안을 마련,
공론화 작업을 거친 뒤
내년 3월 이내에 시도민 대상
여론조사를 실시한다는 계획.

▶인터뷰: 박형준 / 부산시장
"공론화위원회를 구성을 해서 시·도가 함께, 시도민들의 공론을 조정하는 작업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별법을 비롯해서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끌어내는 일도 동시에 진행이 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신성장산업 육성과 인재양성,
광역교통 개선 등
양 지역의 경제 발전과
접경지역 주민 불편 해소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재점화된
경남과 부산 간
행정통합.

다만, 과거 메가시티 무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서부경남 소외론이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이 큰 만큼
이를 어떻게 풀어나갈지가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SCS 하준입니다.

헤드라인 (R)뉴스영상

이전

다음

  • 페이스북
  • 인스타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