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SFTS 치명률 18.7%..진드기 물림 사고 예방 수칙은
(남) 이른 더위에 가벼운 복장을 찾게 되는 요즘입니다. 그런데 해마다 이맘때면 진드기 물림 사고 소식이 들려오곤 하는데요.
(여) 자칫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만큼, 관련 예방 수칙을 숙지해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보도에 하준 기잡니다.
【 기자 】
농작업과 나들이 등
야외활동이 느는 이맘때면
'불청객' 진드기의 활동도
왕성해집니다.
질병관리청이 최근 발표한
참진드기 지수는 38.3으로
평년 대비 37.5% 가량
높아진 상황.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
주의가 필요한 시점인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이른바 SFTS를 비롯해
진드기매개뇌염, 라임병,
큐열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가운데 SFTS는
일부 진드기에서만
확인되고 있지만,
치료제가 없고 치명률이
20%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요 증상은
원인 모를 발열과 식욕 저하,
구토, 복통, 설사 등입니다.
경남에선
지난 2020년부터 4년 간
79명이 감염됐고
이 가운데 14명이 숨졌습니다.
[S/U] [CG]
"경남에서도 해마다 참진드기 매개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꾸준히 집계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도내 SFTS 사망자 5명 중 4명이 서부경남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진드기 물림 사고를 예방하려면
우선 외출 전,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복장을 갖추고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이 좋습니다.
또, 외출 당시 입었던 옷은
즉시 세탁하고
혹시나 진드기가 붙어있거나
벌레 물린 상처 등이 없는 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인터뷰: 구현진 / 진주시보건소 감염병관리팀 주무관
"야외활동 또는 농작업 전에는 밝은색 긴 옷, 모자, 목수건, 목이 긴 양말, 장갑 등 진드기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을 갖춰 입으시고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를 사용하시고 풀 위에 옷을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등의 수칙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진드기에 물렸다면
진드기를 제거한 뒤 소독하고
15일 정도는 의심 증상 여부를
관찰하는 것이 필수.
SFTS의 경우
환자의 혈액 등에 의해
발병한 사례도 있어
의심 환자 발생 시엔
접촉을 삼가야 합니다.
SCS 하준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