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숲 놀이시설, 가족이 함께 즐겨요
가족과 나들이가 많아지는 5월. 아이들과 함께 갈 문화공간이 고민되시는 부모님들 많으실텐데요. 자연에 동화될 수 있는 가까운 숲 놀이시설을 찾아보시는 건 어떨까요 김동엽기잡니다.
【 기자 】
나무를 자유자재로
오르는 청설모.
그 옆으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설치된 암벽오르기와
그물벽오르기가 보입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 할
나무장애물 건너기 코스도
눈에 띕니다.
사천 도심 속 위치한
수양공원 내
유아 숲 체험원입니다.
최근 지자체들마다
숲 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제정과 시설 정비를
진행하고 있는데
지역의 부족한
어린이 문화 시설문제를
이를 통해 해소하려는
취지가 깔려 있습니다.
▶인터뷰 : 임봉남 / 사천시의원
(02:14:48:22-02:14:57:21)
우리 산림자원을 이용을 해서 우리 아이들에게 미디어나 인터넷 그런 것에 많이 노출이 되어 있지 않습니까
+
(02:15:01:18)
어린이 숲 체험장에 가서(체험활동을) 많이 하면 창의성과 모든 게…(좋지 않겠나)
아이들이 스마트폰과
게임에서 벗어나
자연과 교감하면서
교육적 효과까지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말이면 이용객들이 많아
대기시간이 생기기도 할 만큼
아이들에게 인기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시는 기존 공원과 녹지를
활용할 수 있는 숲 체험시설을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운영 중인 수양공원과
망산공원 등 총 3곳 이외에도,
사남면에 위치한
초전공원과 월성공원에도
숲 체험시설을 설치해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초전공원의 경우
이미 공사가 진행 중이고
월성공원은 토지보상협의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 : 박은형 / 사천시 녹지공원과장
(02:22:15:05)
"어린이들이라든지 학부모들이라든지 호응이 너무 좋고 해서 올해 24년도에는 지금 이제 사남면 방지리에 있는 초전공원 하고 사남면 월성리에 있는 월성공원 내에 지금 유아숲 체험원을..."(준비중에 있습니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숲 놀이시설의 기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SCS 김동엽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