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진주시 제1회 추경안 원안 가결..5분 발언 잇따라
제9대 후반기 의회 원구성 후 열린 첫 진주시의회 임시회가 마무리됐습니다.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비롯한 안건들이 의결됐으며 의원들의 5분 발언이 잇따랐습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
오랜 침체기를 겪고 있는
진주 실크산업.
업체 수는
전성기 대비 1/3 이하로 줄었으며
남아 있는 업체들은
재료비와 인건비 상승,
대체섬유로 인한
경쟁력 약화 등으로
어렴움을 겪고 있습니다.
때문에
실크 활용 먹거리 개발과
진주실크박물관 건립 추진 등
실크산업 부흥을 위한
여러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 산하 공직유관단체인
한국실크연구원을
진주시 출자 출연기관으로
전환하잔 제안이 제시됐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실크 업체들을 지원하고
업계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잔 겁니다.
[인터뷰]
최민국, 진주시의원
"앞으로 실크 기업의 조력자 역할에 걸맞은 조직 운영체계로의 혁신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제는 예산 지원을 넘어 관리·운영에 직접적인 지원을 통해..."
다양한 과학기술
문화 확산 정책을 추진해
진주를 우주항공 바이오
과학기술 도시로 조성해야 한단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인터뷰]
최지원, 진주시의원
"경남테크노파크에서 진행 중인 과학문화 확산 프로그램의 진주 유치도 필요합니다. 진주시 생활과학교실과 과학문화바우처 사업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참여 인원을 확대해 나가야 합니다."
이날 열린 임시회에선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도
다뤄졌습니다.
올해 당초 예산보다
10.74% 증액된
2조 395억여 원이 제출됐는데
본회의에서 원안대로 통과됐습니다.
고향사랑기금 증액이 포함된
제1회 기금운용계획변경안도
원안 가결됐습니다.
또 진주시 직장 내
괴롭힘 금지에 관한 조례안과
진주시 숲길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동의안 등
20여 건의 안건이
함께 심의·의결됐습니다.
SCS 남경민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