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꿀 도둑' 반달곰과의 불편한 동거.."서식지 확대돼야"
(남) 지리산 일대에서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이 진행된 지 20년이 넘었습니다. 개체 수가 증가하며 민가로 내려오는 경우도 많은데요.
(여) 벌통이 훼손 되는 등 재산 피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 입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여기저기가 파헤쳐진 채
숲 속에 버려진 벌집들.
지리산 자락에서
양봉업을 하는 조현만 씨는
지난해 반달곰의
습격으로 벌통 22개가
훼손되는 피해를 봤습니다.
[S/U]
현장에는 이처럼
반달가슴곰이 먹다 버린
벌집이 남아있습니다.
곰의 침입을 막기위한
전기울타리도
이중으로 설치돼 있습니다.//
곰들이 겨울잠에서 깨는
봄, 올해도 같은 습격이
반복될까 걱정이 한가득입니다.
▶ 인터뷰 : 조현만 / 반달곰 피해 농가
- 아침에 와서 보니까 벌통이 완전히 다 난장판이 돼 갖고 있는 거야. 곰이 안 내려오게 해야지 이거 계속해서 농민에게 피해를 입히면 되겠습니까
지난 2023년 산청의 한 농장
CCTV에는 반달가슴곰이
염소를 물고 나오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이
축사에 전기 울타리와
생포트랩을 설치했지만,
막을 수 없었습니다.
▶ 전화인터뷰 : 피해 농가 (음성변조)
- 연 1회해서 2년 두 번 (피해) 봤고...올해도 아마 올거니까...
[CG]
이처럼 반달가슴곰
피해로 정부가 보험을
통해 배상한 금액만
지난 2023년 1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공단 측은 반달가슴곰에게
위치추적기를 부착하고
침입 방지 시설을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는 있지만
실효성은 의문입니다.
당장 추적기가 훼손되거나
아예 부착이 안된 개체가
절반이 넘습니다.
일각에서는 반달곰의 개체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자체들의 경쟁적 개발 사업으로
곰들의 삶터는 좁아지는 것이
근본적 원인이라고 주장합니다.
▶ 전화인터뷰 : 윤주옥 / '반달곰친구들' 이사
- 더 안 좋은 조건으로 되면 실제로는 (서식지가) 더 분절되고...케이블카가 건설된다 하면 케이블카 주변으로는 대형 포유류들은 살 수 없는 거거든요.
반달곰 복원사업 추진
20년이 넘어가며
개체 수가 처음보다
15배 가량 증가해
90여 마리로 추정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
이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한 방안을
생각해야 할 시기입니다.
SCS 김연준 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당선자 확정
- (남)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지난 5일 진행된 가운데 당선자가 확정됐습니다. 진주와 사천지역은 5곳에서 투표가 진행돼 당선자가 가려졌습니다. (여) 사상 첫 전국동시선거를 통해 뽑힌 서부경남 당선자 얼굴을 강진성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 새마을금고 선거가 막을 내렸습니다.서부경남은 단독출마가 많아...
- 2025.03.06
- (R) "한두 개쯤이야".. 몽돌 반출하다간 '쇠고랑'
- 해변 놀러가셔서 추억 남기신다고 조약돌 한 두개쯤 챙겨오셨던 분들 많으실겁니다. 최근엔 계획적으로 바다자갈을 대량으로 반출하는 이들이 있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데요. 계속된 무단 반출에 주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한 여성이 해안가에서 무언가를 주워 듭니다.주워든 물체가 자신의 맘에 들지 않는지 다시 ...
- 2025.03.06
- (R) 사천시 "우주항공청 중심 복합도시 계획 반영"
-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확정되면서 사천시의 우주항공복합도시 구상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사가 들어설 국가산단과 연계해 복합도시를 세계적인 모델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강진성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결정되면서사천시가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시는 우주청이 들어설 용현면 국가산단 입지에 대해선조속한 청사 건...
- 2025.02.26
- (R) 올해 개교 100주년 학교만 6곳..'교육의 도시' 진주
- 교육의 도시라고 불리는 진주에는 역사가 긴 학교들이 많습니다. 1895년 개교한 130년 역사의 진주초등학교부터, 경상국립대와 진주교대 등 100년이 넘는 대학교들도 있는데요. 올해에만 6곳의 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김상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인구 규모 대비각종 교육 관련 기관과 시설이 많은 진주시.경남도 유일의초등교원 ...
- 2025.03.06
- (R) 고령자 면허증 반납 ‘미미’.."혜택 확대” 필요
-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 2018년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고 수는 늘고, 면허증 반납자 비율은 미미한 상황인데요. 반납에 따른 혜택을 대폭 확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김순종 기잡니다. 【 기자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이어지자2018년 도입된 면허증 반납제도.시행 8년차를 맞...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