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R) 생생영농소식 - 과일 수확 적기
대표적인 가을 과일인 사과와 배. 추석을 앞두고 수확이 시작됐는데, 무엇보다 품종별 수확 적기를 맞추는 게 중요합니다. 이밖에 과일 수확 시기도 함께 살펴봅니다. 생생영농소식, 경남도농업기술원 임석동 홍보팀장입니다.
【 기자 】
과일의 수확 적기는
과실이 충분히 성숙하여
품종 고유의 빛깔과
풍미를 나타낼 때입니다.
수확 적기를 판단하여
수확하려면 꽃이 핀 후
익는 일수, 빛깔, 과실크기 등
다양한 정보들을 고려하여
수확기를 예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과는 나무 전체에
착색된 과실이 80% 이상
골고루 분포하였을 때
수확합니다.
지역별, 농가별로
수확시기는 다를 수 있지만
꽃이 활짝 핀 후
익는 일수로 수확시기를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만생종 사과 ‘후지’품종은
꽃이 활짝 핀 후
170∼180일이 경과하면
수확이 가능하고,
조생종 ‘홍로’품종은
꽃이 활짝 핀 후
125∼140일이 경과할 때
수확할 수 있습니다.
같은 나무에서도
개개의 과실에 따라
익는 정도가 다르므로
일시에 수확하는 것보다
2∼3회로 나누어
과실이 큰 것부터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의 수확기 판정은 주로
과실의 빛깔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그러나 배는 봉지를 씌워
재배하므로 빛깔만으로
수확기를 결정하기
곤란할때가 많아서
빛깔뿐만 아니라 광택,
열매 자루의 분리 정도 및
통상적으로 과일이 익는 시기를
고려해서 판단합니다.
복숭아는 과육의 경도,
껍질의 빛깔, 향기 등에 따라
수확시기를 판단하는데,
껍질의 빛깔은 담황색
또는 유백색이 된 후,
붉게 물들때가
시장 출하용으로 수확하기
알맞습니다.
복숭아 수확은
한 나무에 결과지 위치나
수관의 내외부 조건에 따라
익는 정도 차가 크기 때문에
수확 초기에는 2일마다,
최성기에는
매일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포도는 적기에 수확하지 않으면
품질이 불량하고
고유의 향기도 나지 않기 때문에
각 품종의 익는 시기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꽃이 활짝 핀 후 익는 일수는
조생종 품종인 ‘캠벨얼리’는
75∼80일이고
중생종 품종 ‘거봉’의 경우
90∼95일이 소요되며
M.B.A.(머스캇베일리에이)같은
만생종 품종은 110∼120일이 소요됩니다.
또한 포도의 수확시기 판단에는
당도를 많이 고려하는데
주요 품종인 ‘캠벨얼리’는
15.0 브릭스(°Bx),
‘거봉’과 ‘샤인머스켓’은
18.0브릭스(°Bx)이상이 되면
수확을 시작합니다.
지금까지 경상남도농업기술원에서
생생영농소식이었습니다.
-
많이 본 뉴스
- 하동군, 농산물 택배비 지원 신청 20일 마감
- 하동군이 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마감을 앞두고 농가 참여를 당부했습니다.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은소규모 농가의 유통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2022년에 도입됐습니다.택배비는 건당 2500원이 정액 지원되며, 농가당 연간 최대 200건, 총 5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특히 올해는타지역뿐 아니라 하동지역 택배 발송이 포함돼로컬 거래 농가도 혜택을 받게 됐습...
- 2025.06.18
- 경상국립대 권진회 총장,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열어
- 경상국립대학교가 권진회 총장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간의 주요 성과와 향후 비전을 밝혔습니다.권 총장은등록금 수입 감소와글로컬대학사업 경고 등각종 위기에도의미있는 성과를 이뤄냈다며,향후 라이즈사업과글로컬대학사업을양 날개로 삼아세계 100위 대학을 향해비상하겠다는 목표를밝혔습니다.권 총장은 또국가거점국립대학의책무를 강조하면서도지역과의 상...
- 2025.06.18
- (R) "경남-부산 행정통합 계속 추진..거취 고민 아직"
- 출범 3주년을 맞아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기자간담회 열었습니다. 경남-부산 행정통합부터 향후 거취 문제까지 다양한 현안에 대한 입장을 듣는 자리였는데요. 남경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4년 차에 접어든민선 8기 박완수 경남도정.앞서 3년간우주항공청 개청과글로컬대학 최다 지정,무역수지 32개월 연속흑자와실업률 개선 등 의미 있는 성과들을 거뒀습니다....
- 2025.06.30
- (R) 지역 소상공인 위기 가중..지원책 마련 분주
- 어렵다, 어렵다는 말이 절로 입에 붙는 요즘 경제 상황. 특히나 서민경제의 중심, 소상공인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위기를 직면한 소상공인들을 위한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데요.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사회, 경제적으로큰 혼란을 야기했던코로나19 유행.특히 장기간 경기침체로 인해소상공인들이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2025.06.27
- (R) 도민체전, 서부 4개 군 뭉쳤다..2027 공동개최 시동
- 【앵커멘트】2027년 경남도민체전의 무대가 서부경남 4개 군으로 확정됐습니다. 산청·함양·거창·합천, 4개 군이 손을 잡고 대회를 준비하면서, 지역 간 협력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자의 보돕니다.【기자】경남 체육인들의 최대 축제경남도민체전.진주를 떠난 성화는오는 2026년엔창녕과 함안으로 이어집니다.그리고 ...
-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