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국가대표를 향한 한판 승부..유도 대회 열린 사천
'유도 도시' 사천에서 2024 춘계 전국 남·여 대학유도연맹전이 열렸습니다. 전국 20개 대학 400여명의 선수가 자웅을 겨뤘는데요. 각 체급별 우승자는 올해 열리는 동아시아유도선수권대회 출전권을 얻습니다.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탐색전을 펼치며 서로의
헛점을 찾는 두 선수.
매의 눈으로 이를 지켜
보던 감독의 지시가 이어집니다.
이내 한 선수가 상대를
넘어뜨리자 관중석에서
열화와 같은 함성이 터집니다.
한국대학유도연맹이 주최하고
경남유도회와 사천시유도회가
주관하는 2024 춘계 전국 남·여
대학유도연맹전입니다.
23일부터 사흘간 14개
체급으로 나눠
개인전과 단체전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지난 22일 마무리된
경남도민체육대회에서
사천시체육회가 유도 종목
종합 1위로 11연패를
달성하는 등 유도 도시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사천시.
오랜기간 학생부 유도선수를
길러오며 유도 분야에
강점을 키운 것이
배경으로 꼽힙니다.
이에 지난해부터 3년간
사천에서 이 대회를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 인터뷰: 양세명 / 경남유도회장
- 지역 유도 활성화 한국대학유도연맹의 발전을 위해서 우리 지역에서 개최하게 됐습니다. 우리 지역의 유도가 명실상부하게 다져지기를...
올해 참여하는 선수는
20개 대학 400여명.
각 체급별 우승자는
올해 중국에서 열리는
동아시아 유도선수권대회에
출전 자격을 얻게됩니다.
국가대표가 되기 위해
피땀 흘려 이날 만을
기다려 온 선수들은
그 어느때보다 자신감이
넘칩니다.
▶ 인터뷰 : 김유정 / 한국체육대학교 3학년
- 저는 오른쪽 업어치기가 제일 어려운데, 업어치기 선수에게 당하지 않고...제 최종목표는 국가대표입니다.
한편 개회식에서는 사천의
유도 발전에 기여한 공으로
김경원 사천시유도회 부회장
김영련 사천시주민자치회장에게
각각 공로패와 감사패가
수여됐습니다.
SCS 김연준 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R) 파프리카 토마토퇴록바이러스 감염 급증.."사전 방제 중요"
- 경남 파프리카 농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해충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저한 사전 방제가 이번 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전국 파프리카 생산량의30% 이상을 차지하는 경남.파프리카는경남 신선농산물 수출액의 약 1/3을 책임지는 지역 효자 작물 중 하납니다. 그런데 최근일부 농가...
- 2025.05.20
- (R) 경남 곤충 농가 3곳 중 1곳 폐업..활로 찾기 나서
- 한때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았던 곤충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신고된 곤충농가 3곳 중 1곳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인데요. 현장에서는 다시 곤충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기자 】참나무나 상수리 나무에서식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일명 굼벵이들 입니다.외형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단백질 함량은 돼지고...
- 2025.05.23
- (R) 도립대-창원대 통합 승인 "전국 최초 다층학사제 운영"
- 교육부가 경남도립남해대학과 거창대학, 국립창원대학교의 통합을 승인했습니다. 내년부터 통합 대학으로 새롭게 출발하게 됩니다. 전국 처음으로 전문학사와 일반학사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됩니다. 김상엽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교육부가 남해대학 등 도립대학 2곳과국립창원대학교의통합을 승인했습니다.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대학 간의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입학...
- 2025.05.29
- (스튜디오R) 직접 들어봅시다 -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진주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최근에는 미션과 비전을 선포하며 지역의 안전과 편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다짐도 밝혔는데요. 이 시간 진주시민들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스튜디오에 초청했습니다. 이사장님...
- 2025.05.23
- (R) 일본 쌀값 급등에 "하동 쌀, 일본 접수하러 갑니다"
- (남) 최근 일본에서는 흉작과 사재기, 정부의 대응 미흡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평소 높은 관세 부담으로 한국 쌀의 수출은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수출 경쟁력이 생기게 됐는데요. (여) 이에 경남에서 최초로 고품질의 하동섬진강쌀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
-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