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하동 가루녹차, 미주 이어 유럽까지
일명 왕의 녹차라 불리는 하동군의 녹차 산업이 다시 한번 전성기를 눈앞에 두고 있다고 합니다. 잎차 제품이 아닌, 가루녹차가 미국과 캐나다, 브라질 등 미주 대륙에 진출했는데요. 이런 가운데 하동산 가루녹차가 대규모 유럽 수출길에도 올라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 기자 】
하동읍에 위치한
하동녹차연구소
가공공장.
이곳의 저온
저장 창고에는
해외 수출길에
오를 상자들이
쌓여있습니다.
모두 이곳 공장에서
공정을 거친
하동산 가루녹차입니다.
인기에 비해
물량이 부족한 지경에
지난해까지는
일부 원료를
외부에서 충당했지만,
올해부터는
자체적 원료로
가공에 들어갔습니다.
가루녹차용으로
차광재배한 생엽 수매가
전년 대비 284톤이나
늘어날 정도로
생산량도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종현, 하동녹차연구소장
"(과거에는 일부 원료를 외부에서) 가져왔었거든요. 그러나 지금은 우리가 자급을 해서, 자급자족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생산량이 많이 확대가 돼있는 상황입니다. 재배 기술이 많이 향상됐습니다. 차광재배를 한지가 8~9년 차에 접어들다 보니까 노하우도 생기고..."
수출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11월까지 수출한
하동가루녹차는
80톤가량.
미국 스타벅스를 비롯해
캐나다와 멕시코,
브라질까지
미주 전체를 접수한 셈인데,
6일, 이 가루녹차의
추가 선적식이 열렸습니다.
이날 선적된 가루녹차는
모두 18톤가량.
이 중 6톤은
처음으로
유럽을 향해
대규모 수출길에
오르는 겁니다.
[인터뷰]
하승철, 하동군수
"미국과 남미 쪽에 그동안 집중적으로 시장 개척을 했다가 올해부터는 유럽에도 진출 하게 됐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함께 생산량 확대를 해서 유럽이나 미국 등의 글로벌 시장에서도 세계적인 실력을 보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수출을 포함해
하동군의 가루녹차
수출량은 100톤가량으로
전년 대비 45%나
늘어난 규모입니다.
여기에 더해
가루녹차 생산량이
더 늘어날 수 있다면
해외 물량 외에
국내에도 공급이
가능할 전망.
최상품의 하동
가루녹차 산업이
다시 한 번의
전성기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SCS 김상엽입니다.
-
많이 본 뉴스
- (스튜디오 R) "내년부터 경남패스로 교통비 부담 던다"
- 경남패스라고 들어보셨나요 경남도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인데요. 도에서 도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덜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내년 1월부터 ‘경남패스’라는 정책을 야심차게 시행한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올해 5월부터 시행한 K-패스 사업에 경남도민을 대상으로 혜택을 더했다고 하는데요. 경남도 교통정책과 남쌍현 파트장으로부터 직접 사업에 대한 설명을 ...
- 2024.12.25
- (R) "지역축제 난립..내실 꾀해야"
- (남) 지역경제 보탬뿐 아니라 주민들을 위한 문화 혜택 제공 측면에서도 축제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죠. 최근엔 지역축제들이 워낙 경쟁적으로 난립되다보니 이에 대한 개선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데요. (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체질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동엽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CG 1 i...
- 2025.01.09
- (R) 삼천포 키다리 아저씨, 올해도 통큰 기부
- '삼천포 키다리 아저씨'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어려운 이웃을 위해 언제나 도움의 손을 내미는 유진수산 강유복 대표에게 붙여진 별명인데요. 누구보다 가난했던 유년 시절, 어른이 되면 어려운 사람을 돕겠다는 결심에서 시작한 기부활동을 40년 넘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해도 통큰기부로 지역사회를 훈훈하게 한 강 대표를 강진성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사천에서...
- 2025.01.09
- (R) 진주·남해·하동, 정보공개 상위 20%
- 알 권리 보장을 위해 공공기관에서 생성한 정보를 청구할 수 있는 정보공개제도. 우리 지역에선 어떤 기관들이 투명하게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고 있을까요. 남경민 기잡니다.【 기자 】공공기관이 만들어갖고 있는 정보를국민들에게 공개하는 정보공개제도.정보공개포털을 통해누구나 기관에 정보를청구할 수 있습니다. 해마다 정보공개제도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 2025.01.09
- (R) 2025년 경남 교육, 어떻게 변하나
- 올해부터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됩니다. 늘봄학교도 대상이 확대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을 한해인데요. 2025년 경남 교육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정리했습니다.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올해 경남교육의주요 정책 키워드로역량과 시민,공공성과 지역을꼽았습니다.특히 민주시민교육과 함께지역을 살리는 교육에집중한다는 방침.우선 지난해인구소멸...
-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