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타임날씨) 8월 8일 목요일 - 폭염 지속.. 경남에 오후 5~40mm 소나기
사진으로 보는 날씨입니다.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됐던(보기)
목요일에 이어 금요일도
계속해서 폭염은
이어지겠는데요.
다만 금요일 오후에
서부경남 대부분 지역에
소나기가 예고돼있습니다.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치는 곳이 있겠고,
경남서부내륙에는
5~40mm 의 강수량이 예상됩니다.
이어서 자세한 지역별 날씨
살펴보겠습니다.
서부경남지역
남해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
오후에 소나기가 내리겠는데요. (보기)
아침 최저 기온
산청 23도, 진주 24도로 출발해
한낮에는 32도에서
34도 분포 보이겠습니다.
전국 날씹니다.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는
종일 맑은 하늘 보이겠지만
남부지방을 중심으로는
소나기 소식이 있는데요.
갑작스럽게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릴것으로 보이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보기)
아침 최저 기온은
서울 26도, 세종 24도로 출발하겠고,
광주의 한낮 최고 기온은
34도 예상됩니다.
남해동부앞바다는
대체로 맑겠는데요. (보기)
물결과 바람은
모두 잔잔하겠습니다.
이어서 삼천포 기준
조석표 살펴보겠습니다.
물때는 열 세 물,
만조시각은
밤 11시 45분,
간조시각은
오후 5시 33분 예상됩니다.
사천공항 날씨 정보입니다.
금요일 오전 9시 기준으로는
하늘에 구름 많겠는데요.
우리 지역에서
서울 김포로 가는
첫 번째 항공편은
오전 11시 20분
예정돼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천공항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어서 삼천포 여객
운항정보입니다.
제주도에서 삼천포로
오는 배는 오후 3시
출발 예정입니다.
주간 날씨입니다. (보기)
토요일에도
소나기 소식이 있는데요.
짧은 시간에 내리는
강한 비로 인해
계곡이나 하천의 물이
갑자기 불어날 수 있으니
접근 및 야영을 자제하시고,
교통 안전에도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일요일부터는 다시
맑은 하늘 펼쳐지겠고,
다음주도 무더위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금까지 기상정보였습니다.
-
많이 본 뉴스
- (R) 파프리카 토마토퇴록바이러스 감염 급증.."사전 방제 중요"
- 경남 파프리카 농가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해충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철저한 사전 방제가 이번 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남경민 기잡니다. 【 기자 】전국 파프리카 생산량의30% 이상을 차지하는 경남.파프리카는경남 신선농산물 수출액의 약 1/3을 책임지는 지역 효자 작물 중 하납니다. 그런데 최근일부 농가...
- 2025.05.20
- (R) 경남 곤충 농가 3곳 중 1곳 폐업..활로 찾기 나서
- 한때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았던 곤충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도 신고된 곤충농가 3곳 중 1곳은 휴업하거나 폐업한 상태인데요. 현장에서는 다시 곤충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철웅 기잡니다.【 기자 】참나무나 상수리 나무에서식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일명 굼벵이들 입니다.외형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만, 단백질 함량은 돼지고...
- 2025.05.23
- (R) 도립대-창원대 통합 승인 "전국 최초 다층학사제 운영"
- 교육부가 경남도립남해대학과 거창대학, 국립창원대학교의 통합을 승인했습니다. 내년부터 통합 대학으로 새롭게 출발하게 됩니다. 전국 처음으로 전문학사와 일반학사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됩니다. 김상엽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교육부가 남해대학 등 도립대학 2곳과국립창원대학교의통합을 승인했습니다.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대학 간의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입학...
- 2025.05.29
- (스튜디오R) 직접 들어봅시다 -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진주시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최근에는 미션과 비전을 선포하며 지역의 안전과 편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다짐도 밝혔는데요. 이 시간 진주시민들의 삶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상섭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을 스튜디오에 초청했습니다. 이사장님...
- 2025.05.23
- (R) 일본 쌀값 급등에 "하동 쌀, 일본 접수하러 갑니다"
- (남) 최근 일본에서는 흉작과 사재기, 정부의 대응 미흡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평소 높은 관세 부담으로 한국 쌀의 수출은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자 수출 경쟁력이 생기게 됐는데요. (여) 이에 경남에서 최초로 고품질의 하동섬진강쌀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보도에 김상엽 기잡니다.【 기자 】하동...
- 2025.05.20